본문 바로가기

기술자료실27

진동 설비진단 및 모니터링 진동센서 가속도계 가속도센서 부착 및 측정 위치 각종 기계의 진동 설비 진단 및 모니터링 시 진동센서 측정 위치(측정 포인트)가속도 센서 또는 속도센서와 같은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기계의 설비 진단 또는 고장 결함 진단을 할 경우 각종 설비 마다 어떤 위치에 진동센서를 부착하여 진동을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의를 많이 받습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실제 진동 측정 시 어떤 위치에 어떻게 부착되었는지에 대해 사진 및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아래는 모터의 방열 핀 부위에 진동 가속도센서를 마운팅 한 사례 입니다.모터에 직접 홀 가공을 하고 스터드(Stud)를 사용하여 진동 가속도센서(Accelerometer)를 연결 한 것 입니다.모터 진동 측정좀 더 자세하게 설명 드리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모터와 진동 가속도센서를 체결한 사례 입니다. .. 2025. 4. 16.
전하 주입 교정(CIC: Charge Injection Calibration)이란? 환경 소음 모니터링시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소음 측정용 센서인 마이크로폰(Microphone)와 신호처리장치(Data Acquisition Device)는 주로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매우 먼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소음 센서인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경우 사람의 고막과 같은 역할은 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은 물리적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습니다.이때 전하 주입 교정(CIC)방법은 소음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곳 까지 가지 않아도 원격으로 소음측정 센서인 마이크로폰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사용 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Brüel & Kjær사에서 발명한 이 기술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전하 주입 교정(CIC)은 90년대 중반에 B.. 2025. 4. 14.
소음계(Sound Level Meter) 사양 및 종류 선택 방법 소음계(Sound Level Meter) 사양 및 종류 선택 방법소음측정기(Sound Analzyer) 또는 일반적으로 소음계(Sound Level Meter)라고 불리는 제품들은 시중에 매우 다양하고 가격도 저가형에서부터 고가형 까지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정확한 사용 목적에 알맞는 소음계(Sound Level Meter)를 선택하기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그래서 소음계(Sound Level Meter) 선택 시 어떠한 방법으로 내게 가장 알맞은 소음계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소음계(Sound Level Meter)란 무엇인가요? : 소음계(Sound Level Meter)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범위(Audible Range)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2025. 4. 11.
[공유]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차원이 다르게 소리를 제어하다 ‘흔들림 없는 조용함’이 자동차가 갖춰야 할 ‘매너’일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자동차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지면서 무조건 조용하고, 엄숙한 것이 좋은 자동차의 조건이 아닙니다. 예전만 해도 자동차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개발 방향은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정숙성 즉 실용 성능에 맞춰졌지만 이제는 완벽한 실용 성능 개발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차량과 가장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사운드 개발이 중요해졌습니다. 고객이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고, 맞춤형 제어가 중요해진 시대. 현대자동차그룹은 기술 개발 방향을 ‘펀 투 드라이브(Fun To Drive)’에 두고 NVH 저감도 이 연장 선상에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운전자가 원하는 사운드를 찾아서 IT 기술 접목과 .. 2022. 4. 29.
Operating Deflection Shape(ODS)을 이용한 진동 분석 ODS(Operating Devection Shape) 분석은 테스트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애니메이션화하여 사용자가 측정 대상의 Dynamic을 이해하는데 편리한 도구 입니다.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작동 조건에서의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시각화 합니다. 이는 측정 대상체의 강제 응답(Forced Response)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동의 진폭과 위상은 진동의 강도와 분포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등고선도(Contour Map)으로 애니메이션화 시킬 수 있습니다. ​ 각각의 좌표에서의 변형(Deformation) 및 감쇠(Damping), 강성 변화(Stiffness), 질량(Mass)정보 등을 통해 시험 대상체의 구조적 특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크리스탈 인스트루먼트사에서 제.. 2022. 4. 29.
모달 테스트(Modal Test)을 이용한 구조물의 동특성 측정 진동 시험의 한 종류인 모드해석 또는 고유진동수 분석을 하는 가장 큰 두 가지 이유는, 대상 시스템의 고유진동수를 파악하는 일이고 각 고유진동수에서의 모드 형상(Mode Shape)을 파악하여 대상체의 공진 및 진동에 의한 변형(Deformation)을 예측하는 것 입니다. 고유진동수 (natural frequency)란? 모든 물체는 각각의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진동하며 이 때 물체의 진동수를 고유 진동수라고 합니다. 물체는 여러 개의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으며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의 외력이 주기적으로 전달되어 진폭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공명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때의 진동수는 공명 진동수가 되며 진동은 역학계, 음향계, 광학계 등 많은 종류의 진동계에서 나타날 수 있으고, 이 중 전기·공학.. 2022. 4. 27.
고속 푸리에 변환(FFT)와 주파수 분석시 스펙트럼의 종류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은 소음 진동의 분석 뿐만 아니라 오디오 엔지니어링, 이미지 처리를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의 중요한 수학적 도구 입니다. 그럼 푸리에 변환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푸리에 변환은 타임 도메인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종종 신호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마치 아래 그림과 같이 프리즘이 빛을 파장별로 분해하여 보여주듯이 시간신호를 주파수 별로 분해하여 보여주는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편리할 것 입니다. 모든 신호는 무한개의 Sin 또는 Cos (주기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오늘날 컴퓨터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는 이산 푸리에 변환(DFT)와 고속 푸리에 변환(FFT)의 두 가지 종류가 일반적으로 사용 됩니다. 이.. 2022. 4. 27.
회전체 진동 신호 및 분석 기법(Orbit & Shaft Center Line & Bode Plot) 진동 신호 및 분석에 유용한 기법중에 하나인 Orbit(궤도) 분석은 시간 영역에서 두 개의 데이터 채널을 사용합니다. 두 채널의 진동 응답 신호는 X 및 Y 평면에 그려져 축 위치 변화 대 회전 각도를 표시합니다. 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유체유막 베어링에서 축 중심에 대한 실제적인 거동을 볼 수 있는 좋은 분석 수단 입니다. 궤도 디스플레이는 회전축의 움직임을 아래과 같이 2차원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축 중심 라인(Shaft Center Line) 또는 DC GAP을 분석함으로써 축 중심의 이동 및 진동 분석이 가능 합니다. 극좌표 형태의 이 그래프는 베어링 간극에 대한 축의 평균 위치를 나타내며, 두 개의 비접촉식 X, Y 센서의 Gap 전압의 DC 성분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이 신호를 통하여 베어링.. 2022. 4. 27.
미세 진동의 측정 미세 진동(Micro-Vibration)은 인간이 감지하게에 매우 적은 수준이지만 고사양의 정밀급 진동전용 측정 장비로는 측정이 가능 합니다. 미세 진동(Micro-Vibration)의 수준은 보다 정확히 정의하자면 1-100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50 μm/s 이하의 진동 수준을 갖는 진동을 의미 합니다. 반도체의 기술 발달 및 수요가 증가 하면서, 게이트의 길이는 줄어들었고 어느 반도체 생산 기업이 제공하는 가장 짧은 길이는 5nm이며 이는 제조 공정에서 많은 고정밀 계측기가 사용되야 하며 이 또한 미세 진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를 제대로 제어하지 않으면 웨이퍼의 수율이 크게 낮아집니다. 미세 진동(Micro-Vibration)은 IC 공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2022. 4. 25.